안녕하세요, 여행벌입니다.
오늘은 제어문의 한 종류인 선택문(switch)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.
Switch 문
선택문인 switch 문은 변수에 저장된 값과 switch 문에 있는 경우(case)의 값을 검사하여 변수와 경우의 값에서 일치하는 값이 있을 때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합니다. if 문과 용도는 비슷하나 if 문은 만족하는 데이터가 여러 개일 경우에 주로 사용하고, switch 문은 여러 경우의 값 중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아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시킬 때 사용합니다.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
let 변수 = 데이터;
switch(변수){
case 값1 : 코드1; break;
case 값2 : 코드2; break;
case 값3 : 코드3; break;
case 값4 : 코드4; break;
default : 코드5;
}
변수에 저장된 값은 switch 문을 만나면 case의 값을 하나씩 검사합니다.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하고 break 문을 만나 switch 문을 종료합니다.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다면 마지막 default 에 있는 코드를 실행하고 switch 문을 종료합니다.
변수의 값이 값1과 같다면 코드1을 수행, 값2와 같다면 코드2를 수행, 값3과 같다면 코드3을 수행, 값 4와 같다면 코드4를 수행, 어떤 값과도 같지 않다면 코드5를 수행합니다. if 문과 비슷하게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예시를 통해서 익혀보겠습니다.
let today = "일"
switch(today){
case "월" : console.log("오늘은 월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화" : console.log("오늘은 화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수" : console.log("오늘은 수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목" : console.log("오늘은 목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금" : console.log("오늘은 금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토" : console.log("오늘은 토요일입니다.\n"); break;
case "일" : console.log("오늘은 일요일입니다.\n"); break;
default : console.log("잘못입력하셨습니다.\n");
}
today에 문자 "일"이 들어가 있으므로 case "일" 에 해당됩니다.
today를 한 번 바꿔보겠습니다.
let today = "금요일";
어떤 값과도 같지 않으므로, default 코드가 실행됩니다.
이번 포스팅은 선택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선택문은 if 문과 비슷하지만 쓰이는 용도가 조금 다르므로 잘 익혀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'Dev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바스크립트] 기초문법 #6 반복문(for) - travelbeeee (0) | 2020.01.16 |
---|---|
[자바스크립트] 기초문법 #5 반복문(while) - travelbeeee (0) | 2020.01.16 |
[자바스크립트] 기초문법 #3 조건문(if) - travelbeeee (0) | 2020.01.16 |
[자바스크립트] 기초문법 #2 연산자 종류 - travelbeeee (0) | 2019.12.30 |
[자바스크립트] 기초문법 #1 선언문과 변수 종류 - travelbeeee (0) | 2019.12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