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여행벌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수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상수
■ 상수는 '값이 변하지 않는 수' 를 의미합니다. 자바에서는 한번 그 값이 정해지면 이후로는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를 상수라고 얘기합니다.
■ 자바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앞에 final 이라는 선언을 추가하면 그 변수는 '상수'가 됩니다.
package example1;
public class example1_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{
final int SIZE =100;
final char NAME = '홍';
final int MAX_SIZE;
MAX_SIZE = 150;
System.out.println(MAX_SIZE);
}
}
같이 final 을 추가해 변수를 선언하면 '상수' 가 됩니다. 선언하면서 값을 초기화 해도 되고 아니면 선언하고 후에 값을 초기화해도됩니다. 하지만 한 번 값을 선언하면 바꿀 수 없습니다.ㅁㄴ
package example1;
public class example1_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{
final int SIZE =100;
SIZE = 150;
System.out.println(SIZE);
}
}
위의 코드는 한 번 값을 선언한 상수의 값을 바꾸려고 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.
상수 이름 규칙
■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짓습니다.
■ 이름이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final 키워드를 이용해 상수를 선언하는 법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.
final 키워드는 다른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.
그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.
'Computer 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#6 자바 단항 연산자 - travelbeeee (0) | 2020.03.17 |
---|---|
[JAVA] #5 자바 이항 연산자 - travelbeeee (0) | 2020.03.16 |
[JAVA] #4 자바 형 변환 - travelbeeee (0) | 2020.03.13 |
[JAVA] #3 자바 리터럴(Literals), 리터럴 상수 - travelbeeee (0) | 2020.03.13 |
[JAVA] #1 자바 변수와 자바 자료형의 종류 - travelbeeee (0) | 2020.03.12 |